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을 읽고 니콜라스 카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을 읽었다. 저자는 세계적인 IT 미래학자이자 인터넷의 아버지로 불린다. 이 책은 인터넷이 우리의 뇌 구조를 바꾸고 있다고 주장한다. 가장 큰 문제로 깊이 사고하는 것을 방해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인상 깊게 읽은 구절은 다음과 같다. .. 독서일기(성찰) 2011.02.26
고전의 숲에서 지혜를 찾다를 읽고 이서규 <고전의 숲에서 지혜를 찾다>를 읽었다. 저자는 자유기고가, 기자로 활동했고, NGO에서 활동가로 일하기도 하였다. 이 책은 10장에 걸쳐 두 작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신곡과 서유기를 한 장에서 다룬다. 인상 깊게 읽은 부분은 다음과 같다. 고전.. 독서일기(책에대한 책) 2011.02.19
설득의 비밀을 읽고 김종명 박사 <설득의 비밀>을 읽었다. 저자는 성균관대학교에서 경제철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이솝러닝 주식회사 대표 컨설턴트를 맡고 있다. 이 책은 설득의 비밀을 5가지로 정리한다. (1) 이슈 재정의 : 상대방과의 커뮤티케이션에서 상대가 제시하는 의제나 관.. 독서일기(기타) 2011.02.17
한승원의 글쓰기비법 108가지를 읽고 <한승원의 글쓰기 비법 108가지>를 읽었다. 저자는 소설가 내지 시인으로서 <아제아제 바라아제>, <차 한 잔의 깨달음>이라는 책을 쓴 바 있고, 현재는 전남 장흥에 '해산토굴'이라는 집을 짓고 집필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이 책은 6부로 되어 있다. 1부 글쓰기란 무엇인가, 2부 글 쓰는 이의 .. 독서일기(인문) 2011.02.13
친구가 되어 주실래요를 읽고 고 이태석 신부의 아프리카 이야기 <친구가 되어 주실래요?>를 읽었다. 저자는 감동 휴먼 다큐멘터리 "울지마 톤즈'의 주인공으로 1962. 9. 19. 부산에서 출생하였고 인제대 의과대학교 졸업과 군의관 복무 후 인생 진로를 바꾸어 2001년 사제를 서품받고 수단으로 출국하여 톤즈 지방에서 선교, 병원 .. 독서일기(성찰) 2011.02.12
재판의 법리와 현실을 읽고 고종주 부장판사가 쓴 <재판의 법리와 현실>을 읽었다. 저자는 1983년 부산지방법원 판사에 임용되어 현재 정년 퇴임을 앞 두고 있다. 이 책은 고종주 부장판사가 정년 퇴임을 앞두고 '정의와 사랑의 이름으로 오늘을 함께 사는 이 땅의 아름다운 사람들'에게 남기는 글이다. 5부로 구성되어 있다. 1..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2.08
조선의 통치철학을 읽고 백승종, 박현모, 한명기, 심병주, 허동현님이 쓴 <조선의 통치철학>을 읽었다. 저자 중의 1인인 백승종 전 독일 보훔대학교 한국학과장 대리로부터 선물받은 책이다. 이 책에는 5편의 글이 실려 있다. (1) 정도전과 세종대왕의 민본사상 백성을 두려워하고 공경하라, (2) 조광조외 김인후 이상세계를 .. 독서일기(인문) 2011.02.07
희망을 읽고 리영희 산문선 <희망>을 읽었다. 고 리영희 선생이 썼던 산문을 임헌영이 선정하여 5장으로 분류해 놓았고, 마지막 부분에는 반공법위반으로 재판을 하면서 썼던 상고이유가 붙어 있다. 임헌영님은 리영희 선생과 대담을 나누고 정리한 책 <대화>를 펴낸 바도 있다. 책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2.05
미술관 옆 인문학을 읽고 박홍순 <미술관 옆 인문학>을 읽었다. 저자는 동서양 고전을 친근한 벗으로 만드는 일, 고전의 정수를 가까이하는 일을 실천하고 있다. 이 책은 주제와 그림과 해석이 제시된다. 주제는 자유를 향한 여정, 동양과 서양의 시선, 이성의 그늘, 빈곤의 역사를 넘어, 일상성의 비밀, 개인과.. 독서일기(인문) 2011.01.30
정조와 불량선비 강이천을 읽고 백승종 <정조와 불량선비 강이천>을 읽었다. 저자로부터 선물받은 책이다. 저자는 1990년대부터 미시사의 실천운동에 전념해왔다. 이 책은 저자가 박사학위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얻은 자료를 토대로 18세기 조선의 문화투쟁을 기술하고 있다. 강이천을 중심에 놓고 그 대척점에 정조를 놓아 18세기 .. 독서일기(인문) 2011.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