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의 기술을 읽고 제프리 페퍼 <권력의 기술>을 읽었다. 선물받은 책이다. 저자는 스탠퍼드 경영대학원 석좌교수로 조직행동학을 가르친다. 이 책은 '조직에서 권력을 거머쥐기 위한 13가지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책 내용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리더들은 자신을 드러낼 줄 알고 다른 사람들이 듣고 싶어 하..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9.16
우충좌돌 중도의 재발견을 읽고 인하대학교 철학과 김진석 교수 <우충좌돌 중도의 재발견>을 읽었다. 저자는 중도좌파를 자처하는 학자로서 보수와 진보 사이에 '우충좌돌' 하면서 중도를 만나고 그들을 구해낼 것을 주장한다. 책 내용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중도가 유별나게 진보를 자처하지도 않고, 진보가 중도를 오..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8.12
인권 변론 한 시대를 읽고 인권변호사 홍성우의 증언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한인섭 교수와 대담하는 형식으로 정리한 <인권변론 한 시대>를 읽었다. 홍성우 변호사는 서울형사지방법원 판사로 있던 중 1971년 이른바 제1차 사법파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후 변호사로 개업하여 1974년 민청학련사건을 계기로 인권변..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8.09
분노하라를 읽고 스테판 에셀 <분노하라>를 읽었다. 저자는 독일에서 출생하였지만 7세에 프랑스로 이주하여 20세에 프랑스 국적을 취득한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드골이 이끄는 '자유 프랑스'에 합류하여 레지스탕스로 활약하다가 1944년 체포된다. 유대인 강제수용소에서 사형선고까지 받았으나 탈출하고, 이후 외..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8.03
법의 재발견을 읽고 석지영 교수 <법의 재발견>을 읽었다. 저자는 미국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종신교수다. 이 책은 다음 구절로 시작된다. "자선과 구타는 집에서부터 시작된다"(프랜시스 보몬트, 존 플래처). 법에서 가정 또는 집이 어떠한 취급을 받아 왔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음미해보고 싶은 문장은 다음..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8.02
치열한 법정을 읽고 브란트 골드스타인 <치열한 법정>을 읽었다. 미국은 아이티 구데타로 발생한 대량 난민에 대해서는 관타나모에 수용하거나 해상에서 바로 본국으로 송환하는 방식을 취했고, 그들을 정치적 난민이 아니라 경제적 난민으로 취급하여 쿠바의 예와는 다른 정책을 취했다. 이런 미국의 이중적인 난민..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7.10
내 목은 매우 짧으니 조심해서 자르게를 읽고 목수정 <사랑의 야성학>을 읽고 있었는데, 깜박 잊고 사무실에 두고 왔다. 할 일도 없고 해서 2000. 3. 1. 읽은 소셜 디자이너 겸 변호사 박원순 <내 목은 매우 짧으니 조심해서 자르게> 중 몇 문장을 소개한다. 이 책은 소크라테스의 재판, 토머스 모어의 재판, 드레퓌스 재판과 같은 세기의 재판 ..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7.02
불량사회와 그 적들을 읽고 인터넷 뉴스 프레시안이 기획한 <불량사회와 그 적들>을 읽었다. 부제는 좋은 시민들이 들려주는 우리 사회 이야기다. 프레시안 기자가 지식인들을 만나 우리 사회의 문제점과 해법을 짚어보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좋은 시민들은 장하준, 도정일, 조국, 김두식, 엄기호, 윤희정, ..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5.26
지금 경계선에서 레베카 코스타 <지금 경계선에서>를 읽었다. 저자는 인간 진화, 글로벌시장의 문제, 신기술과 관련된 최근 조류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사회생물학자다. 이 책은 인류 문명이 붕괴 직전이라고 진단한 다음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 통찰을 제시한다. 인상 깊게 읽은 문장은 다음과 같다. 이 모든 위협..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5.26
총 균 쇠를 읽고 재레드 다이아몬드 <총, 균, 쇠>를 읽었다. 저자는 생리학 박사로서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 교수로 재직중인데, 오늘날 일본인은 2400년 전 한반도에서 대량으로 이주한 한민족의 후예이며, 일본어는 한반도에서 통용되던 고구려어가 변화되었다는 요지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이 책은 인..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