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의 배신을 읽고 1. 개괄 바버라 에런라이크 <노동의 배신>을 읽었다. 저자는 <긍정의 배신>이라는 베스트셀러로 널리 알려진 미국의 저널리스트 겸 사회운동가다. 이 책은 저자가 2000년 전후 웨이트리스, 청소부, 판매원과 같은 저임금 노동자의 삶을 체험하고 이를 수기 형식으로 정리한 것으로.. 독서일기(정치사회) 2012.07.08
말의 가격을 읽고 1. 개괄 앙드레 쉬프랭 <말의 가격>을 읽었다. 저자는 30여년 간 미국 판테온 출판사를 이끌면서 유럽의 대표적 지식인을 미국에 소개하는 일에 주력했다. 1990년 비영리 법인 뉴 프레스를 설립하여 대표적인 인문 사회과학 출판사로 키워냈다. 이 책은 돈에 갇힌 미디어와 언론을 구해.. 독서일기(정치사회) 2012.06.30
사물의 민낯을 읽고 1. 개괄 김지룡, 갈릴레오 SNC의 <사물의 민낯>을 읽었다. 잡동사니로 보는 유쾌한 사물들의 인류학이다. 2. 발췌 바울을 기독교 최초의 가장 뛰어난 세일즈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전파가 가능햇던 것은 그가 비유대인들에게 거부감을 불러일으키는 관습을 강요하지 않았기 .. 독서일기(정치사회) 2012.05.09
정치학으로의 산책을 읽고 1. 개괄 21세기 정치연구회가 엮은 <정치학으로의 산책>을 읽었다. 가벼운 마음으로 읽을 수 있는 정치학 입문서다. 소주제는 4가지인데, (1) 정치란 무엇인가, (2) 정치과정과 정치발전, (3) 세계화, 지방화 그리고 한국, (4) 정치학, 그 영역의 확장이 그것이다. 2. 발췌 러셀의 설명에 따.. 독서일기(정치사회) 2012.03.30
새로운 미래가 온다 1. 개괄 다니엘 핑크의 <새로운 미래가 온다>를 읽었다. 부제는 미래 인재의 6가지 조건이다. 저자는 미래학자다. 저자는 제1막을 산업화 시대로, 제2막을 정보화시대로, 제3막을 하이컨셉 하이터치 시대로 정의한다. 2막의 중심인물은 좌뇌형 재능을 갖춘 지식근로자들이었다. 3막의 .. 독서일기(정치사회) 2012.03.24
사회학을 읽고 1. 개괄 비판사회학회의 <사회학>을 읽었다. 비판사회학회에 속한 학자들이 쓴 사회학 교과서다. 사회학이 다루는 문제가 이렇게 방대한 줄 몰랐다. 2. 발췌 베버는 자연과학과 달리 사회과학이 추구하는 목표는 인간이 가치를 선택하고 자신의 가치에 따라 행동하는 상황에 대한 명.. 독서일기(정치사회) 2012.03.18
위험사회를 읽고 1. 개괄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를 읽었다. 저자는 독일 뮌헨대학에서 사회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밤베르크대학 정교수로 재직중이다. 이 책은 부제가 '새로운 근대를 향하여'인 데서 드러나듯, 근대화 과정이 위험사회로 귀착되므로 사회가 실제로 진화하려면 반드시 성찰.. 독서일기(정치사회) 2012.03.06
미디어의 이해를 읽고 1. 개괄 마셜 맥루언의 <미디어의 이해>를 읽었다. 저자는 캐나다 태생으로 1964년 이 책을 출간에 폭발적인 관심을 끌었다. 여기서 다루는 미디어는 라디오, 텔레비전을 비롯하여 인쇄, 영화, 전신, 신문, 광고 등 여러 가지다. 이 책은 안 읽었어도 '미디어는 메시지다'는 이 책의 명제.. 독서일기(정치사회) 2012.02.28
사회적 자본을 읽고 KBS 사회적 자본 제작팀의 <사회적 자본>을 읽었다. 사회적 자본이란 한 사회가 신뢰하고 소통하여 협력할 수 있게 돕는 사회적 조건이나 역량을 말한다. 물적 자본, 인적 자본에 이어 제3의 자본이라고 한다. 피디나 작가가 '사회적 자본'이라는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하.. 독서일기(정치사회) 2012.01.04
인민의 탄생을 읽고 송호근 <인민의 탄생>을 읽었다. 저자는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다. 이 책은 조선의 백성이 현대의 시민으로 어떻게 진화해 왔는가를 탐구하였다. 책 내용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894년을 전후하여 생겨나기 시작한 자발적 결사체는 조선의 지배 구조와 지배 이념으로는 ..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