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미 추아의 '제국의 미래'를 읽으니 에이미 추아의 '제국의 미래'를 읽었다. 저자는 중국계 미국인 2세로서 하버드대학교에서 국제법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예일대학교 법학 교수로 있다. 이 책은 미국의 대외정책이 불관용에서 관용으로 변화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미국의 현재 지위를 제국 즉, 권력을 장악한 문화와 인종이.. 독서일기(역사) 2009.01.18
왕중추의 '디테일의 힘'을 읽으니 왕중추의 '작지만 강력한 디테일의 힘'을 읽었다. 왕중추는 현재 치정 컨설팅의 마케팅관리 수석고문으로 활동 중인데, 그 전에는 홍콩의 여러 기업에서 영업사원부터 시작하여 대표이사의 자리에 오르기까지 근무하였다. 이 책은 모든 위대함은 작은 것들에 대한 충실함으로부터 기원한다는 명제에.. 독서일기(경제경영) 2009.01.05
알프레드 디 수자의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 -알프레드 디 수자- 춤추라, 아무도 바라보고 있지 않은 것처럼.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 노래하라, 아무도 듣고 있지 않은 것처럼. 일하라, 돈이 필요하지 않은 것처럼. 살라, 오늘이 마지막 날인 것처럼. (류시화 엮음 '사랑하라 한.. 시 암송 2009.01.04
아마티아 센의 '살아 있는 인도'를 읽으니 아마티아 센의 '살아 있는 인도'를 읽었다. 아마티아 센은 아시아 최초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였고, 불평등과 빈곤 연구의 대가이고 사회선택이론의 독보적 존재라고 한다. 현재 하버드의 레이먼트 대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이 책은 저자의 이러한 경력과 무관하게 경제학 서적은 아니고 책 제목 그.. 독서일기(인문) 2008.12.31
작은세상이 대안이다. 2009년 국가예산 217조 원, 2009년 수출액 목표 4500억 달러, 이를 뒷받침하는 수천 쪽의 계획서...... 손에 잡히지 아니 한다. 국가의 사업이 어떻게 결정되고, 무슨 근거로 결정되는지 알 수가 없다. 같은 아파트 단지에 산다고 하지만 주민수가 1만 명이 넘는 상황에서 소통은 어렵다. 같은 아파트에 10년을 .. 생활단상 2008.12.27
서경식, 김상봉 대담 '만남'을 읽으니 서경식, 김상봉의 대담 '만남'을 읽었다. 서경식님은 일본 교토에서 재일조선인으로 태어났고, 현재 도쿄케이자이 대학교 현대법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면서 성공회대학교 연구교수로 와 있다. 이른바 유학생 간첩단 사건에 연루되었던 서승, 서준식의 동생이기도 한데, 이 블로그에서도 그가 쓴 '사라.. 독서일기(기타) 2008.12.21
주제 사라마구의 '눈 먼 자들의 도시'를 읽으니 주제 사라마구의 '눈 먼 자들의 도시'를 읽었다. 작가는 포르투갈 사람으로서 1998년 '수도원의 비망록'이라는 작품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용접공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하였으며 1947년 죄악의 땅을 발표하면서 창작활동을 시작하였고 그 후 19년간 단 한 편의 소설도 쓰지 않고 공산당 활동에만 .. 독서일기(소설) 2008.12.12
제임스 G. 마치의 '문학에서 배우는 리더의 통찰력'을 읽었다. 제임스 G. 마치가 강의한 것을 티에리 베유가 정리한 '문학에서 배우는 리더의 통찰력'을 읽었다. 이 책은 딜레당트K님이 추천한 책이다. 제임스 G. 마치는 조직론의 세계 최고 권위자이자 경영학계의 시인이라고 한다. 미국 국립과학원의 회원이다. 테이리 베유는 제임스 G. 마치의 제자로서 현재 프랑.. 독서일기(경제경영) 2008.12.05
정혜윤의 '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를 읽었다. 정혜윤의 '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를 읽었다. 정혜윤님은 '공지영의 아주 특별한 인터뷰' '행복한 책 읽기' 등을 기획제작한 프로듀서다. 이 책은 저명인사 11명을 인터뷰하여 그들 인생에 뚜렷한 영향을 끼친 책들을 소개하는 내용이다. 여기에 등장하는 저명인사는 진중권, 정이현, 공지영.. 독서일기(책에대한 책) 2008.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