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몬 왕의 판결 솔로몬 왕의 판결 1. 쟁점 신대법관님의 법원장 재직시절 행위는, 재판권을 침해한 것인가? 사법행정권을 행사한 것인가? 신대법관님의 행위가 재판권의 침해에 해당한다면, 우리는 침묵할 것인가? ‘아니오’ 라고 말할 것인가? 입니다. 이 문제를 판사들이 토론하지 말아야 할 어떠한 법.. 시론 2009.06.09
남경태의 '철학'을 읽다 남경태의 '철학'을 읽었다. 저자는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고, 이름은 필명인 듯 싶다. 부제가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인데서 드러나듯 우선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탈레스에서 하버마스까지 서양철학자의 대부분을 열거하고, 서양철학의 흐름이 세계(대상) - 인간(주체) -인식(언어) 순으.. 독서일기(인문) 2009.06.09
나희덕의 '그의 사진' 그의 사진 -나희덕- 그가 쏟아놓고 간 물이 마르기 위해서는 얼마간 시간이 필요하다 사진 속의 눈동자는 변함없이 웃고 있지만 실은 남아 있는 물기를 거두어들이는 중이다 물기를 빨아들이는 그림자처럼 그의 사진은 그보다 집을 잘 지킨다 사진의 배웅을 받으며 나갔다 사진을 보며 거실에 들어서.. 시 암송 2009.06.02
이삭의 집에서 그 소년을 만나다 오늘 부산법원 직원들이 만든 봉사단체인 '정겨운 세상 만들기' 회원과 함께 이삭의 집을 방문하였다. 윤인태 부산고등법원 수석부장판사, 민중기 부산고등법원 부장판사를 비롯하여 부산고등법원, 부산지방법원 직원 10여 명(3팀 소속)이 참여하였다. 12시에 이삭의 집에 도착하였다. 이삭의 집에서 .. 생활단상 2009.05.30
고승철의 'CEO 인문학'를 읽고 고승철의 'CEO 인문학'을 읽었다. 저자는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 경제부장을 지낸 바 있고, 여러 편의 책을 썼다. 이 책은 저자가 서울대학교 제2기 최고지도자 인문학 과정을 이수하면서 보고, 듣고, 읽고, 생각한 바를 요약한 것이다. 인상 깊게 읽은 구절은 다음과 같다. 인문학을 익힌.. 독서일기(인문) 2009.05.20
에마뉘엘 피라의 '법은 사회의 브레이크인가 엔진인가'를 읽고 에마뉘엘 피라의 '법은 사회의 브레이크인가 엔진인가'를 읽었다. 저자는 프랑스 파리8대학에서 법학을 가르치고 있는 교수이자 변호사이다. 파리 변호사협회 회원으로 지적 재산권 문제를 전문으로 하는 변호사 사무실을 운영중이기도 하다. 베글 동성 결혼 사건의 변호를 맡은 바 있다. 이 책의 내.. 독서일기(정치사회) 2009.05.17
우리법연구회의 추억 3가지 우리법연구회의 추억 3가지 1. 우리법연구회를 작명한 사람 1988년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가 창립될 무렵이었다. 나는 창립 회원으로서 연구회 명칭을 짓는 모임에 참석하게 되었다.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가 유력했다. 그런데 창립회원 중에 한 명이 서울대학교 출신이 아닌 것이 맘에 걸.. 우리법연구회 2009.05.08
폴 존슨의 '창조자들'을 읽고 폴 존슨의 '창조자들'을 읽었다. 저자는 인간의 행동 영역 전반을 아우르는 역사가로서 1928년 영국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을 졸업했다. 영국 현대사의 최전선에서 주로 보수 진영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마거릿 대처의 고문 겸 연설문 작성자를 지냈다. 이 책은 셰익스피어에서 월트 디즈니까지 위대.. 독서일기(인물) 2009.04.30
우리법연구회 회장 새해인사 새해인사 새해가 밝았습니다. 회원 여러분 새해에도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빕니다. 2009년은 ‘새로운 20년’을 시작하는 첫 해입니다. 우선 우리법연구회 20주년 기념행사를 성공적으로 치러냄으로써 우리법연구회를 한 단계 끌어 올린 2008년도 집행부에 2009년도 집행부를 대표해 경의를 표합니다. 20.. 우리법연구회 2009.04.23
우리법연구회 20주년 기념 문집 발간 인사말 문집 발간에 즈음하여 우리법연구회 20주년 기념 문집을 세상에 내 놓습니다. 우리법연구회 창립 20주년이 2008년이므로 작년에 펴내는 것이 자연스러웠겠지만, 좀 더 완벽한 작품을 만들고자하는 편집팀의 고집 때문에 조금 늦게 나오게 되었습니다. 널리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문집.. 우리법연구회 2009.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