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호사를 선임할 돈이 없을 때 소송을 하거나 당했을 때 변호사의 도움을 받으면 한결 든든하겠지요. 그러나 돈이 없어 변호사를 선임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1. 소송구조 신청 민사사건, 행정사건, 가사사건이 생겼을 때 법원에 소송구조신청서와 재산관계진술서를 내보.. 생활법률 2009.04.10
알랭 드 보통의 '불안'을 읽으니 알랭 드 보통의 '불안'을 읽었다. 저자는 스위스 취리히에서 태어났고,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하였다.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여행의 기술'과 같은 책을 책을 발표하였고, 많은 이들의 찬사를 받았다고 한다. 이 책은 불안의 원인으로 사랑결핍, 속물근성, 기대, 능력주의, 불확실성을 들고.. 독서일기(성찰) 2009.04.09
강상중의 '고민하는 힘'을 읽으니 강상중의 '고민하는 힘'을 읽었다. 저자는 재일교포 2세로서 1998년 일본국적으로 귀화하지 않은 한국 국적자로는 최초로 도쿄대학 정교수로 되었고, 일본 근대화 과정과 전후 일본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으로 일본 지식인 사회의 주목을 받았다고 한다. 일본을 대표하는 나쓰메 소세키와 독일의 .. 독서일기(성찰) 2009.04.03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 1'을 읽으니 알렉시스 드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 1'을 읽었다. 저자는 1805년에 프랑스에서 태어나 1859년에 사망하였다. 그는 베르사유의 법원에서 배석판사로 근무하였고 1831년 미국 방문에서 얻은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미국의 민주주의 1, 2권을 출간하여 미국과 영국에서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생전에 .. 독서일기(추천) 2009.03.23
황광우의 '철학콘서트2'를 읽으니 황광우의 '철학콘서트2'를 읽었다. 저자는 386세대라면 한번쯤 읽었을법한 '소외된 삶의 뿌리를 찾아서'를 쓴 정인(필명) 바로 그 사람이다. 이 책은 '철학콘서트'에 이어 세상을 바꾼 사상가 10인의 위대한 생각들을 정리해두었다. 피타고라스, 호메로스, 아리스토텔레스, 맹자,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이,.. 독서일기(인문) 2009.02.28
멜빈 브래그의 '세상을 바꾼 12권의 책'을 읽으니 멜빈 브래그의 '세상을 바꾼 12권의 책'을 읽었다. 저자는 유럽 문화예술계의 거장으로서 리즈대학교 총장 및 영국 예술진흥회 회장을 맡고 있다. 이 책은 세상을 바꾼 12권의 책을 소개하는데, 뉴턴의 '프린키피아 마테마티카', 마리 스톱스의 '결혼 후의 사랑', 영국 지배층 귀족의 '마그나 카르타', 영.. 독서일기(책에대한 책) 2009.02.16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의 '나는 누구인가'를 읽으니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이트의 살아 있는 동안 꼭 생각해야 할 34가지 질문 '나는 누구인가'를 읽었다. 저자는 독일 쾰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는 학술 전문 저널리스트다. 이 책은 철학입문서라고 볼 수 있는데, 칸트의 질문법에 따라 내가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 독서일기(인문) 2009.02.08
상가건물 임대차 보호법 상가건물을 빌릴 때 건물주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약자이다 보니 세입자에게 불리한 조항을 넣게 됩니다. 이런 조항을 무효로 만들 수 있는 법률이 상가건물 임대차 보호법입니다. 1. 적용 범위 모든 상가건물 임대차계약에 상가건물 임대차 보호법이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임대차보.. 생활법률 2009.02.06
안대회의 '선비답게 산다는 것'을 읽으니 안대회의 '선비답게 산다는 것'을 읽었다. 저자는 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다. 이 책은 주로 조선시대 선비들 특유의 모습과 흥미로운 사유의 자취를 찾아 온 저자의 결과물이다. 여기서 등장하는 선비의 모습은 스스로 묘지명을 쓴다든가 13년 동안 일기를 쓴다든가 벼슬에 나아가.. 독서일기(성찰) 2009.01.29
우석훈 등의 '88만 원 세대'를 읽으니 우석훈, 박권일의 '88만 원 세대'를 읽었다. 우석훈 박사는 '한미 FTA의 폭주를 멈춰라'는 책으로 유명한 경제학자다. 박권일님은 월간 '말'에서 기자로 일한 적이 있다. 이 책은 출간 1년 남짓 기간에 14쇄가 인쇄되었울 정도로 많은 이들에게 읽혔다. 88만 원 세대는 지금의 20대가 월 평균 88만 원의 소득.. 독서일기(경제경영) 2009.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