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의 '이중섭 평전'을 읽었다. 고은의 '이중섭 평전'을 읽었다. 이중섭은 여러 가지 점에서 빈센트 반 고흐와 대비되는 사람이다. 37세 또는 40세에 요절했던 점, 정신병을 앓았던 점, 천재화가로서 말년에 궁핍한 생활을 했던 점이 공통점이라면, 고흐가 자살한 반면 이중섭이 병사한 점, 고흐는 자화상을 즐겨 그렸던 반면 이중섭이 .. 독서일기(인물) 2008.09.08
이수광의 '나는 야위어도 천하는 살찌리라'를 읽었다. 이수광의 '나는 야위어도 천하는 살찌리라'를 읽었다. 저자는 1954년생 작가로서 '나는 조선의 국모다' 등의 책을 쓴 바 있다. 이 책은 부제 '5백년 조선시대 최고의 문장'이 말해주듯 조선시대 문장가 11명을 뽑아 그들의 대표적 문장과 문장이 나오게 된 역사적 배경을 기록한 책이다. 끝에 김부식, 정지.. 독서일기(인문) 2008.09.06
랜디포시의 '마지막 강의'를 읽었다 랜디 포시의 '마지막 강의'를 읽었다. 랜디 포시는 미국 카네기멜론대학의 컴퓨터 공학 교수로서 6개월 시한부 암 진단을 받고 투병 중임에도 자신이 살아 온 이야기를 내용으로 마지막 강의를 하여 화제가 된 인물이다. 이 책은 그 강의를 포함하여 랜디 포시의 일생을 아이들에게 들려주듯이 이야기 .. 독서일기(성찰) 2008.09.02
고미숙의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을 읽다. 고미숙님의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을 읽었다. 저자는 고려대학교에서 고전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연구공간 수유 + 너머'를 창립한 바 있다. 이 블로그에서도 '공부의 즐거움'을 읽고 작성한 독서일기에서 그녀를 소개한 바 있다. 특히 그녀의 일갈 '공부에 외부란 없다. 공부.. 독서일기(인문) 2008.08.24
데이비드 덴비의 '위대한 책들과의 만남 1'을 읽다. 데이비드 덴비의 '위대한 책들과의 만남 1'을 읽었다. 저자는 미국 영화평론가인데 대학을 졸업한지 30년 정도 지난 후 모교인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부생들을 위한 교양필수과목인 '현대문명', '인문학과 문학'강좌를 1년간 청강하였다. 이 책은 중년의 나이인 저자가 한참 어린 .. 독서일기(책에대한 책) 2008.08.12
조삼모사는 간사한 꾀가 아니다. 조삼모사라는 말이 있다. 중국 송나라의 고사로,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원숭이들이 적다고 화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 좋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 말로, 국어사전에는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른다고 풀이 되어 있.. 생활법률 2008.08.02
신병철의 '통찰의 기술'을 읽다. 신병철님의 '통찰의 기술'을 읽었다. 신병철님은 1990년부터 마케팅 분야에 종사하고 있고, 고려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저자는 무한경쟁의 시대의 해법은 통찰에 있다고 주장한다. 통찰은 본질을 꿰뚫어보게 하는 능력, 한 눈에 알아보는 기술, 표면 아래에 숨어 있는 진실을 살펴.. 독서일기(경제경영) 2008.07.21
김형곤의 '원칙의 힘'을 읽다. 김형곤님의 '원칙의 힘'을 읽었다. 저자는 건양대학교 교수로 재직중이다. 이 책은 초일류국가 미국을 만든 정신은 링컨의 원칙주의다라는 믿음에서 출발한다. 저자는 링컨이 미국의 독립 이후 가장 어려웠던 남북전쟁과 노예해방이라는 거대한 강을 성공적으로 건너간 점에서 그의 업적을, 어느 것 .. 독서일기(기타) 2008.07.14
정민의 '스승의 옥편'을 읽다 정민님의 '스승의 옥편'을 읽었다. 저자는 한양대 국문학과 교수로서 '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 이야기', '미쳐야 미친다'를 비롯하여 좋은 책을 여러 권 썼다. 이 책은 옛글의 행간, 세상읽기, 삶 읽기, 생활의 발견, 책 읽기와 글쓰기 등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지난 10년간 저자가 쓴 글을 모은 것으.. 독서일기(인문) 2008.07.11
새사연의 '새로운 사회를 여는 희망의 조건'을 읽다.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의 '새로운 사회를 여는 희망의 조건'을 읽었다.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은 한국 사회의 진보대안을 위한 순수 민간 싱크탱크로 2006년 2월 발족되었고 언론인 손석춘님이 원장을 맡고 있다. 이 책은 1997년 외환위기는 정치가 내놓은 권력의 대부분을 시장으로, 외국 금융.. 독서일기(정치사회) 2008.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