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고전들을 읽고 서정욱 교수 <철학의 고전들>을 읽었다. 저자는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배재대학교 철학과 교수다. 이 책은 고전을 알기 쉽게 재미 있게 소개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소개하는 고전은, 소크라테스의 변론, 향연, 국가, 니코마코스 윤리학, 오이디푸스왕, .. 독서일기(인문) 2011.08.19
인문고전강의를 읽고 강유원 박사 <인문고전강의>를 읽었다. 저자가 2009년 서울시 동대문구 정보화도서관에서 한 고전 강의에 바탕을 두고 있다. 텍스트로 사용된 고전은 일리아스, 안티고네, 니코마코스 윤리학, 신곡, 군주론, 방법서설, 통치론, 법의 정신, 직업으로서의 정치, 파놉티콘, 거대한 전환, 논어다. 책 내용.. 독서일기(인문) 2011.08.15
우충좌돌 중도의 재발견을 읽고 인하대학교 철학과 김진석 교수 <우충좌돌 중도의 재발견>을 읽었다. 저자는 중도좌파를 자처하는 학자로서 보수와 진보 사이에 '우충좌돌' 하면서 중도를 만나고 그들을 구해낼 것을 주장한다. 책 내용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중도가 유별나게 진보를 자처하지도 않고, 진보가 중도를 오..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8.12
지리산행복학교를 읽고 <공지영의 지리산행복학교>를 읽었다. 하동군수님을 비롯한 여러분이 추천하였다. 작가가 쓴 <고등어>, <인간에 대한 예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읽은 적이 있다. 특히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은 사형제도에 관하여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책은 지리산과 함께 살아.. 독서일기(성찰) 2011.08.10
인권 변론 한 시대를 읽고 인권변호사 홍성우의 증언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한인섭 교수와 대담하는 형식으로 정리한 <인권변론 한 시대>를 읽었다. 홍성우 변호사는 서울형사지방법원 판사로 있던 중 1971년 이른바 제1차 사법파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후 변호사로 개업하여 1974년 민청학련사건을 계기로 인권변..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8.09
분노하라를 읽고 스테판 에셀 <분노하라>를 읽었다. 저자는 독일에서 출생하였지만 7세에 프랑스로 이주하여 20세에 프랑스 국적을 취득한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드골이 이끄는 '자유 프랑스'에 합류하여 레지스탕스로 활약하다가 1944년 체포된다. 유대인 강제수용소에서 사형선고까지 받았으나 탈출하고, 이후 외..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8.03
법의 재발견을 읽고 석지영 교수 <법의 재발견>을 읽었다. 저자는 미국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종신교수다. 이 책은 다음 구절로 시작된다. "자선과 구타는 집에서부터 시작된다"(프랜시스 보몬트, 존 플래처). 법에서 가정 또는 집이 어떠한 취급을 받아 왔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음미해보고 싶은 문장은 다음.. 독서일기(정치사회) 2011.08.02
동서의 피안을 읽고 우징숑 박사 <동서의 피안>을 읽었다. 저자는 중국의 근대사법을 개척한 법학자로서, 상하이 임시 법원의 판사, 법원장과 변호사를 거쳤고, 주 바티칸 중국 전권 공사를 지낸 바 있으며, 미국 유학 중 홈스 미국 연방대법관과 교우를 맺어 홈즈 대법관이 사망할 때까지 이어갔다. 이 책은 저자의 고.. 독서일기(인문) 2011.07.30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을 읽고 알프레트 되블린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을 읽었다. 저자는 독일에서 유대인 부모의 넷째 아이로 태어났는데, 아버지가 미국으로 애정 도피를 하는 바람에 어머니는 다섯 남매를 데리고 베를린으로 이주하였다. 프라이브르크 대학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정신병원에서 일반의로 근.. 독서일기(소설) 2011.07.27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을 읽고 연세대 김상근 교수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을 읽었다. '350년 동안 세상을 지배한 메디치 이야기'다. 인상 깊게 읽은 문장은 다음과 같다. 메디치란 이름이 상징하는 탁월함(Virtus)의 추구, 통찰력, 단호함, 인적 네트워크, 예술에 대한 끝없는 관심과 후원, 인문학과 과학에 대한 경외는 르네상스라.. 독서일기(인문) 2011.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