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광우의 '위대한 생각들'을 읽고 황광우의 '인류의 역사를 뒤바꾼 위대한 생각들'을 읽었다. 저자만 보고 책을 사는 경우가 있는데, 황광우님도 그 중의 한 명이다. 그가 쓴 철학콘서트도 재미 있게 읽은 기억이 난다. 이 책은 10가지 사상을 소개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유주의,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자유민주주의, 민족주의.. 독서일기(인문) 2009.09.05
제러미 리프킨의 '유러피언 드림'을 읽고 제러미 리프킨의 '유러피언 드림'을 읽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거 당시 읽었다는 바로 그 책이다. 저자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 경영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고 이 책을 통하여 미래학자의 역량을 평가받고 있다. 이 책은 미국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EU의 영향력이 증.. 독서일기(인문) 2009.06.28
한홍구의 '특강'을 읽고 한홍구의 한국현대사 이야기 '특강'을 읽었다. 저자는 진보성향 학자들의 산실인 성공회대학교의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고,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 민간위원을 역임한 바 있으며, 한겨레21에 5년간 한홍구의 역사이야기를 기고한 바 있다. 이 책은 저자가 한겨레교육.. 독서일기(인문) 2009.06.18
남경태의 '철학'을 읽다 남경태의 '철학'을 읽었다. 저자는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고, 이름은 필명인 듯 싶다. 부제가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인데서 드러나듯 우선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탈레스에서 하버마스까지 서양철학자의 대부분을 열거하고, 서양철학의 흐름이 세계(대상) - 인간(주체) -인식(언어) 순으.. 독서일기(인문) 2009.06.09
고승철의 'CEO 인문학'를 읽고 고승철의 'CEO 인문학'을 읽었다. 저자는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 경제부장을 지낸 바 있고, 여러 편의 책을 썼다. 이 책은 저자가 서울대학교 제2기 최고지도자 인문학 과정을 이수하면서 보고, 듣고, 읽고, 생각한 바를 요약한 것이다. 인상 깊게 읽은 구절은 다음과 같다. 인문학을 익힌.. 독서일기(인문) 2009.05.20
황광우의 '철학콘서트2'를 읽으니 황광우의 '철학콘서트2'를 읽었다. 저자는 386세대라면 한번쯤 읽었을법한 '소외된 삶의 뿌리를 찾아서'를 쓴 정인(필명) 바로 그 사람이다. 이 책은 '철학콘서트'에 이어 세상을 바꾼 사상가 10인의 위대한 생각들을 정리해두었다. 피타고라스, 호메로스, 아리스토텔레스, 맹자,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이,.. 독서일기(인문) 2009.02.28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의 '나는 누구인가'를 읽으니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이트의 살아 있는 동안 꼭 생각해야 할 34가지 질문 '나는 누구인가'를 읽었다. 저자는 독일 쾰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는 학술 전문 저널리스트다. 이 책은 철학입문서라고 볼 수 있는데, 칸트의 질문법에 따라 내가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 독서일기(인문) 2009.02.08
아마티아 센의 '살아 있는 인도'를 읽으니 아마티아 센의 '살아 있는 인도'를 읽었다. 아마티아 센은 아시아 최초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였고, 불평등과 빈곤 연구의 대가이고 사회선택이론의 독보적 존재라고 한다. 현재 하버드의 레이먼트 대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이 책은 저자의 이러한 경력과 무관하게 경제학 서적은 아니고 책 제목 그.. 독서일기(인문) 2008.12.31
이수광의 '나는 야위어도 천하는 살찌리라'를 읽었다. 이수광의 '나는 야위어도 천하는 살찌리라'를 읽었다. 저자는 1954년생 작가로서 '나는 조선의 국모다' 등의 책을 쓴 바 있다. 이 책은 부제 '5백년 조선시대 최고의 문장'이 말해주듯 조선시대 문장가 11명을 뽑아 그들의 대표적 문장과 문장이 나오게 된 역사적 배경을 기록한 책이다. 끝에 김부식, 정지.. 독서일기(인문) 2008.09.06
고미숙의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을 읽다. 고미숙님의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을 읽었다. 저자는 고려대학교에서 고전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연구공간 수유 + 너머'를 창립한 바 있다. 이 블로그에서도 '공부의 즐거움'을 읽고 작성한 독서일기에서 그녀를 소개한 바 있다. 특히 그녀의 일갈 '공부에 외부란 없다. 공부.. 독서일기(인문) 2008.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