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의 '스승의 옥편'을 읽다 정민님의 '스승의 옥편'을 읽었다. 저자는 한양대 국문학과 교수로서 '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 이야기', '미쳐야 미친다'를 비롯하여 좋은 책을 여러 권 썼다. 이 책은 옛글의 행간, 세상읽기, 삶 읽기, 생활의 발견, 책 읽기와 글쓰기 등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지난 10년간 저자가 쓴 글을 모은 것으.. 독서일기(인문) 2008.07.11
이어령의 '젊음의 탄생'을 읽다. 이어령의 '젊음의 탄생'을 읽었다. 머리말에 '젊음은 누리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이 작은 책을 이 땅의 젊은이들에게 바친다'고 되어 있다. 저자는 창조의 힘으로 젊음을 진화시키는 9가지 매직 카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카니자 삼각형(게의 집게발처럼 생긴 세 개의 팩맨을 보고 있으.. 독서일기(인문) 2008.05.23
후안 마누엘의 '선과 악을 다루는 35가지 방법 1'을 읽다. 후안 마누엘의 '선과 악을 다루는 35가지 방법 1' 읽었다. 세르반테스가 극찬하였다는 우화집이다. 루까노르 백작이 빠뜨로니오에게 조언을 구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고 악을 다루는 두 가지 방법, 은혜를 모르는 교황, 측근을 시험한 왕, 위험한 혀, 왕을 속인 좀도둑 등 18개의 이야기가 실.. 독서일기(인문) 2008.03.06
'맹자'를 읽고 유난히 잘 안 읽히는 책이 있다. 몇 번이나 시작하지만, 번번히 끝을 채우지 못한다. 나에게 '맹자'가 그랬다. 몇 년간 씨름했던 '맹자'를 완독했다. 맹자는 약육강식의 원리가 지배하였던 전국시대를 살았다. 패도정치가 실현되던 그 시기에 왕도정치를 주장하였다. 이를 위하여 無恒産, .. 독서일기(인문) 2007.12.25
장승욱의 '사랑한다 우리말'을 읽고 장승욱의 '사랑한다 우리말'을 읽었다. 부제는 한국 사람이라면 꼭 알아둬야 할 쓸모 있는 토박이말 205가지다. 지은이는 조선일보와 SBS 방송에서 기자로 일하다가 프래랜서 피디 겸 작가로 활동한 바 있다. 이 책은 토박이말 205가지를 제시하고 설명을 곁들이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눈길을 .. 독서일기(인문) 2007.10.25
리처드 니스벳의 '생각의 지도'중에서 2005. 12. 18. 읽은 리처드 니스벳의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전 생각의 지도'중에서 인상 깊은 대목은 다음과 같다. 1. 동양의 도와 서양의 삼단논법 유교적 사고에 있어서 구체적인 행위와 관련되지 않은, 즉 실용적이지 않은 순수한 의미에서의 앎'이라는 것은 없었다. 2. 동양의 더불.. 독서일기(인문) 2007.10.12
이어령의 '디지로그' 중에서 2006. 5. 13. 읽은 이어령의 '디지로그' 중에서 되새겨볼 만한 구절은 다음과 같다.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분단과 그 양극화에 대해서는 아는 사람도 걱정하는 사람도 드물다. 그렇게 때문에 먹는 것으로 상징되는 아날로그의 문화 코드와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문화 코드를 읽는 학습과 훈련이 절.. 독서일기(인문) 2007.09.29
이진경의 '철학과 굴뚝 청소부' 중에서 10년 전에 읽은 이진경의 철학과 굴뚝 청소부 중에서 기억에 담아둘 만한 구절은 다음과 같다. 근대에는 어떤 지식도 자신이 과학적임을 입증할 수 있을 때에야 비로소 존재할 권리를 얻게 됩니다. 자연이란 능동적인 힘과 수동적 힘의 결합체라는 말입니다. 자연에 공존하는 이 두 가지 상반되는 힘을.. 독서일기(인문) 2007.07.27
미카엘 매크론의 '유레카, 유레카!' 중에서 1997. 7. 27. 읽은 미카엘 매크론의 '유레카, 유레카!' 중에서 밑줄이 그어져 있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카르노가 이름 붙인 엔트로피란, 어떤 계 속에 존재하는 무용한 에너지의 양을 가리키는 말이다. 즉 일을 하는 데에 사용할 수 없는 무질서한 에너지를 말한다. 그리고 그의 불길한 표현대로 "우주 전.. 독서일기(인문) 2007.05.30
장정일의 '생각'을 읽고 장정일의 '생각'이라는 책을 읽었다. 장정일의 '공부'라는 책을 재미있게 읽은 기억이 있어 서점에서 장정일의 책이라는 이유만으로 주저 없이 '생각'을 골랐다. 생각(生覺)은 장정일의 해석에 따르면 살면서 깨닫는 것이라고 한다. 이 책 속에는 '아무 뜻도 없어요'라는 제목의 단상과 전영잡감(電影雜.. 독서일기(인문) 2007.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