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원의 글쓰기비법 108가지를 읽고 <한승원의 글쓰기 비법 108가지>를 읽었다. 저자는 소설가 내지 시인으로서 <아제아제 바라아제>, <차 한 잔의 깨달음>이라는 책을 쓴 바 있고, 현재는 전남 장흥에 '해산토굴'이라는 집을 짓고 집필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이 책은 6부로 되어 있다. 1부 글쓰기란 무엇인가, 2부 글 쓰는 이의 .. 독서일기(인문) 2011.02.13
조선의 통치철학을 읽고 백승종, 박현모, 한명기, 심병주, 허동현님이 쓴 <조선의 통치철학>을 읽었다. 저자 중의 1인인 백승종 전 독일 보훔대학교 한국학과장 대리로부터 선물받은 책이다. 이 책에는 5편의 글이 실려 있다. (1) 정도전과 세종대왕의 민본사상 백성을 두려워하고 공경하라, (2) 조광조외 김인후 이상세계를 .. 독서일기(인문) 2011.02.07
미술관 옆 인문학을 읽고 박홍순 <미술관 옆 인문학>을 읽었다. 저자는 동서양 고전을 친근한 벗으로 만드는 일, 고전의 정수를 가까이하는 일을 실천하고 있다. 이 책은 주제와 그림과 해석이 제시된다. 주제는 자유를 향한 여정, 동양과 서양의 시선, 이성의 그늘, 빈곤의 역사를 넘어, 일상성의 비밀, 개인과.. 독서일기(인문) 2011.01.30
정조와 불량선비 강이천을 읽고 백승종 <정조와 불량선비 강이천>을 읽었다. 저자로부터 선물받은 책이다. 저자는 1990년대부터 미시사의 실천운동에 전념해왔다. 이 책은 저자가 박사학위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얻은 자료를 토대로 18세기 조선의 문화투쟁을 기술하고 있다. 강이천을 중심에 놓고 그 대척점에 정조를 놓아 18세기 .. 독서일기(인문) 2011.01.26
유혹하는 글쓰기를 읽고 스티븐 킹 <유혹하는 글쓰기>를 읽었다. 저자는 공포소설로 여러 번 베스트셀러를 기록한 미국 작가다. 이 책은 자서전과 창작론이 섞여 있는 점이 특이한데, 이 작가에게 글쓰기의 목적은 살아남고 이겨내고 일어서는 것이므로, 자사전과 창작론을 엄밀하게 구분할 수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 .. 독서일기(인문) 2010.12.30
그리스 비극에 대한 편지를 읽고 김상봉님이 쓴 <그리스 비극에 대한 편지>를 읽었다. 친구가 추천한 책이다. 저자는 마인츠 대학에서 칸트의 <최후 유고>에 대한 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는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이 책은 사랑하는 사람에게 53개의 편지를 보내는 형식을 취하.. 독서일기(인문) 2010.12.25
왜 도덕인가를 읽고 마이클 샌델 교수 <왜 도덕인가>를 읽었다. 저자는 미국 하버드대학 정치철학 교수이고 우리에게 <정의란 무엇인가>란 책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은 공정함과 시민 덕성에 대한 공유된 이해 없이 좋은 삶을 실현하기란 불가능하다고 전제한 다음, 경제적 도덕, 사회적 도덕, 교육과 도덕, 종.. 독서일기(인문) 2010.11.21
공감의 시대를 읽고 제러미 리프킨 <공감의 시대>를 읽었다. 저자는 <유러피언 드림>이라는 책으로 잘 알려져 있는 사회사상가다. 인류의 역사를 에너지 산업혁명 커뮤니케이션을 키워드로 몇 단계로 구분하는데, 이를 통하여 공감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인류가 발전해 왔음을 보여준다. 인상 깊은 구절은 다음과 .. 독서일기(인문) 2010.10.31
나는 왜 쓰는가를 읽고 조지 오웰이 쓴 <나는 왜 쓰는가>를 읽었다. 저자는 <동물농장>, <1984>로 잘 알려진 작가인데, 이 책을 통하여 그가 11권의 책, 수백 편의 에세이를 썼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는 대영제국의 경찰간부로서 식민지 버마에서 근무하다가 고약한 양심의 가책 때문에 사직한 뒤, 자발적으로 .. 독서일기(인문) 2010.10.04
하버드 철학을 인터뷰하다를 읽고 하버드 철학 리뷰 편집부가 엮은 <하버드 철학을 인터뷰하다>를 읽었다. 하버드 대학의 학부생들이 자발적으로 창간하여 운영하는 있는 철학잡지 <하버드 철학 리뷰>가 있는데 그 편집인이 1991년에서 2001년 사이에 저명한 철학자들을 인터뷰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 이 책이다. 인터뷰에 응한 .. 독서일기(인문) 2010.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