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고전들을 읽고 서정욱 교수 <철학의 고전들>을 읽었다. 저자는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배재대학교 철학과 교수다. 이 책은 고전을 알기 쉽게 재미 있게 소개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소개하는 고전은, 소크라테스의 변론, 향연, 국가, 니코마코스 윤리학, 오이디푸스왕, .. 독서일기(인문) 2011.08.19
인문고전강의를 읽고 강유원 박사 <인문고전강의>를 읽었다. 저자가 2009년 서울시 동대문구 정보화도서관에서 한 고전 강의에 바탕을 두고 있다. 텍스트로 사용된 고전은 일리아스, 안티고네, 니코마코스 윤리학, 신곡, 군주론, 방법서설, 통치론, 법의 정신, 직업으로서의 정치, 파놉티콘, 거대한 전환, 논어다. 책 내용.. 독서일기(인문) 2011.08.15
동서의 피안을 읽고 우징숑 박사 <동서의 피안>을 읽었다. 저자는 중국의 근대사법을 개척한 법학자로서, 상하이 임시 법원의 판사, 법원장과 변호사를 거쳤고, 주 바티칸 중국 전권 공사를 지낸 바 있으며, 미국 유학 중 홈스 미국 연방대법관과 교우를 맺어 홈즈 대법관이 사망할 때까지 이어갔다. 이 책은 저자의 고.. 독서일기(인문) 2011.07.30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을 읽고 연세대 김상근 교수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을 읽었다. '350년 동안 세상을 지배한 메디치 이야기'다. 인상 깊게 읽은 문장은 다음과 같다. 메디치란 이름이 상징하는 탁월함(Virtus)의 추구, 통찰력, 단호함, 인적 네트워크, 예술에 대한 끝없는 관심과 후원, 인문학과 과학에 대한 경외는 르네상스라.. 독서일기(인문) 2011.07.22
인간의 조건을 읽고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을 읽었다. 이해하기 어려웠지만 평소 소신에 따라 끝까지 읽었다. 저자는 평생을 자신이 유태인이라는 의식 속에서 살았는데, 나치 전범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판과정을 묘사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이라는 저서에서 악의 평범성이라는개념을 발전시켜 지성계에 .. 독서일기(인문) 2011.07.13
다산 정약용 산문집 중에서 몇 구절 2005. 11. 19. 읽은 <다산 정약용 산문집> 중에서 밑줄 치며 읽었던 문장은 다음과 같다. 誠의 공부는 가장 먼저 황당한 말을 하지 않는 것부터 힘써야 할 것이다. 나의 소견으로 살핀다면, '중국'이라고 하는 말에서 왜 그 나라가 '중앙'이 되는지 그 까닭을 모르겠다. '동국'이라고 하는 말에서도 왜 이.. 독서일기(인문) 2011.06.25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6을 읽고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6>을 읽었다. 이 책에서 담고 있는 문화유산은 경복궁, 순천 선암사, 달성 도동서원, 거창 동계고택, 합천 영암사터, 부여 무량사, 논산 관촉사, 부여 성주사터 등이다. 책 내용을 일부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답사에 연륜이 생기면서 나도 모르게 문득 떠.. 독서일기(인문) 2011.05.29
길 위의 인문학을 읽고 구효서 외 11인이 지은 <길 위의 인문학>을 읽었다. 역사 문학 철학을 전공한 학자와 문인, 대중이 매월 두 차례 역사 속 인물의 삶의 현장을 답사하고 서로 체험을 교감하는 '길 위의 인문학'이라는 사업이 있었는데, 여기서 진행된 강의와 답사의 결과물이 이 책이다. 감동적으로 읽은 구절은 다음.. 독서일기(인문) 2011.04.22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읽고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읽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을 그의 아들이자 제자인 니코마코스가 편집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에 따르면 윤리학은 정치학과 함께 실천적 학문에 속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 행위의 궁극적 목표가 행복이며 이 행복이 도덕적 활동에 의해 달성.. 독서일기(인문) 2011.04.11
대학 중용을 읽고 주희가 엮고 김미영 서울시립대 철학과 김미영 교수가 옮긴 <대학 중용>을 읽었다. 대학은 증자가, 중용은 공자의 손자인 자사가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를 체계화하고 四書에 편입시킨 사람은 주희, 즉 주자다. 몇 구절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의 도는 밝은 덕을 밝히는 데 있으며, .. 독서일기(인문) 2011.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