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카를 읽었으나 1. 스피노자 스피노자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유대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정통적 교리와 성서 해석에서 벗어나 전통과 권위에 대항했다. 유대교는 그를 파문시켰다. 그는 렌즈 깎는 일로 생계를 유지하면서 몇몇 학생들에게 개인적으로 철학을 가르쳤다. <에티카>는 스피노자.. 독서일기(인문) 2014.04.16
투명사회를 읽고 1. 개괄 현병철의 <투명사회>를 읽었다. 저자는 베를린 예술대학 교수로 재직중인데 <피로사회>란 책으로 독일에서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이 책은 투명사회가 신뢰사회가 아니라, 만인이 만인을 감시하는 새로운 통제사회라고 경고한다. 저자는 20세기 후반부터 사회 전체를 .. 독서일기(인문) 2014.04.11
대통령의 글쓰기 1. 개괄 강원국이 쓴 "대통령의 글쓰기"를 읽었다. 저자는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연설비서관실 행정관, 비서관으로 근무하였다.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에게 배우는 사람들을 움직이는 글쓰기 비법이라는 부제가 달려 있다. 연설문 쓰기 방법을 주제로 하면서 국민의 정부, 참.. 독서일기(인문) 2014.03.29
인문학 명강을 읽고 1. 개괄 김상근 교수 외 10인이 지은 <인문학 명강> 서양고전 편을 읽었다. 저자들은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가 2013년 상반기 '서양고전, 인간을 말하다'를 주제로 연 인문학 공개강연에서 강연했던 교수, 연구자들인데, 이를 단행본으로 만들었다. 니체, 베토벤, 플라톤, 카프카, 호.. 독서일기(인문) 2014.03.22
인문학명강을 읽고 1. 개괄 여러 인문학자들이 쓴 <인문학 명강>을 읽었다. 재단법인 플라톤아카데미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과 함께 '동양고전 2012년을 말하다'를 주제로 인문학 강연을 하였고, 그 요지를 담아 이 책을 만들었다. 강신주, 고미숙, 김영수를 비롯한 15인의 인문학자가 참여하였다. 2. 발.. 독서일기(인문) 2013.09.14
인기 없는 에세이를 읽고 1. 개괄 버트런드 러셀이 쓴 <인기 없는 에세이>를 읽었다. '그는 진보에 대한 확신을 어릴 적에 이미 받아들여 청년기에 갈고 닦았고, 이후 숨을 거둘 때까지 편한 시절이든 힘든 시절이든 가리지 않고 그 믿음을 지키고자 투쟁했다. 지성을 추구할 자유, 민주주의 정치, 사법 정의, 과.. 독서일기(인문) 2013.09.08
순수이성비판 1을 읽고 1. 개괄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1>을 읽었다. 칸트는 인간이 무엇인가와 관련하여 세 가지 질문을 던졌다.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나는 무엇을 행해야만 하는가? 나는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 이에 대한 답변으로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상비판, 판단력비판 이 세권을 저술하였다. 서.. 독서일기(인문) 2013.08.19
답성호원을 읽고 1. 개괄 율곡 이이 선생이 쓴 <답성호원>을 읽었다. 임헌규 교수가 번역한 책이다. 이 책은 이이 선생이 성혼 선생의 '人心과 道心'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서간문을 담고 있으며 끝에 '율곡의 철학적 서신, 답성호원'이라는 역자의 해제가 붙어 있다. 율곡의 생애 중 19세에 금강산에 들.. 독서일기(인문) 2013.07.30
일침을 읽고 1. 개괄 정민 교수의 <일침>을 읽었다. 저자는 한양대학교 국문과 교수다. 이 책은 동양고전에서 4자성어를 뽑아 네 갈래로 묶었다. 1부는 마음의 표정, 2부는 공부의 칼끝, 3부는 진창의 탄식, 4부는 통치의 묘방이다. 2. 발췌 心閑神旺 = 마음이 한가해야 정신이 활발하다. 마음이 한가.. 독서일기(인문) 2013.06.29
나의 문화유산답사기7을 읽고 1. 개괄 유홍준 교수가 쓴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7>을 읽었다. 저자는 문화재청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다. 이 책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시리즈 중 7편으로 제주도를 다루고 있다. 답사 대상은 다랑쉬오름, 대정 추사유배지, 영실, 관덕정 등이다. 2. 발.. 독서일기(인문) 2013.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