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 있는 글쓰기를 읽고 1. 개괄 피터 엘보가 쓴 <힘있는 긁쓰기>를 읽었다. 저자는 메사추세츠 대학교 영문학과 교수로서 자유롭게 쓰기 기법을 발전시켜 문단과 학계의 지지를 받아 왔다. 이 책은 옥스퍼드 대학이 출판하고 33년간 읽혀 온 글쓰기 메뉴얼이다. 2. 발췌 나쁜 것을 제거한다고 곧 뛰어나고 탁.. 독서일기(인문) 2014.11.23
노력중독을 읽고 1. 개괄 에른스트 푀펠과 베아트리체 바그너가 지은 <노력중독>을 읽었다. 전자는 뮌헨대학교 임상심리학과 교수로서 뇌과학자고 후자는 상담 치료 전문가이자 작가다. 이 책은 지난 천 년 동안 인간 개개인의 지적 능력은크게 증가되지 않았고 단지 지식이 널리 보급되었을 뿐이며 .. 독서일기(인문) 2014.11.06
인간이 그리는 무늬를 읽고 1. 개괄 최진석 교수가 쓴 <인간이 그리는 무늬>를 읽었다. 저자는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다. 몇달 전 최진석 교수로부터 강의를 들은 적이 있어 이 책을 골랐다. 강의에서도 무늬를 강조했는데, 이 책에서도 인문학을 배우는 목적을 인간이 그리는 무늬의 정체를 알기 위해서라고 주.. 독서일기(인문) 2014.10.27
무위당 장일순의 노자이야기를 읽고 1. 개괄 <무위당 장일순의 노자이야기>를 읽었다. 이현주 목사가 무위당 장일순 선생과 함께 노자의 도덕경을 강독힐 떼 주고 받은 말을 정리한 책이다. 도덕경 81장 전부에 관하여 원문과 번역을 실은 다음 이현주목사가 장일순 선생께 질문하고 답변을 듣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 독서일기(인문) 2014.10.07
삶이란 무엇인가를 읽고 1. 개괄 수전 울프가 쓴 <삶이란 무엇인가>를 읽었다. 저자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철학교수다. 이 책은 프린스턴대학교 인간가치센터가 주관한 '삶의 의미'프로젝트에서 울프 교수가 진행한 강의에 논평을 추가해 새롭게 엮은 것이다. 2. 발췌 '나'라는 인간을 '체험'하는 것, 그것.. 독서일기(인문) 2014.09.21
고금통의를 읽고 1. 개괄 이덕일의 <고금통의>를 읽었다. 어제의 역사는 오늘에도 그 뜻이 통한다. 한국과 중국의 역사에서 교훈을 찾아 오늘의 문제에 적용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솔로몬도 <전도서>에서 '해 아래 새것이 없다'라면서 '새것이라 할 것이 있으랴. 우리 오래전 세대에서도 있었다'라.. 독서일기(인문) 2014.09.13
무엇이 가치있는 삶인가를 읽고 1. 개괄 로버트 노직이 쓴 <무엇이 가치 있는 삶인가 : 소크라테스의 마지막 질문>을 읽었다. 저자는 미국의 대표적 자유주의 철학자다. 26개의 주제에 대하여 저자의 견해를 밝혔다. 2. 발췌 나는 소크라테스처럼 성찰되지 않은 삶은 살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것은 지나치.. 독서일기(인문) 2014.09.03
이미지인문학 1을 읽고 1. 개괄 진중권의 <이미지 인문학 1>을 읽었다. 저자는 동양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다. '과거에는 책이 사람을 형성했다면 오늘날 인간의 의식은 영상으로 빚어진다. 텍스트 중심의 인문학은 이제 이미지와 사운드의 관계 속에서 다시 정의되어야 한다. 이는 이미지에 기초한 새로운 유.. 독서일기(인문) 2014.07.06
말공부를 읽고 1. 개괄 조윤제의 <말공부>를 읽었다. 저자는 뜨인돌출판사 부사장으로 일했고, 현재 기획, 번역,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 이 책은 대화에는 격이 있어야 하고 말에도 공부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2500년 인문고전에서 말공부 거리를 찾는다. 2. 발췌 천명을 모르면 군자가 될 수 없고 예.. 독서일기(인문) 2014.06.28
걷기, 두 발로 사유하는 철학을 읽고 1. 개괄 프레데리크 그로가 쓴 <걷기, 두 발로 사유하는 철학>을 읽었다. 저자는 프랑스 철학자로서 파리12대학 정치철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이 책은 걷기를 두 발로 사유하는 철학으로 파악한다. 걷기는 순례, 산책, 소요를 포함한다. 니체, 랭보, 루소, 칸트, 소로와 같이 걷기에 철학.. 독서일기(인문) 2014.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