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자의 추방을 읽고 1. 개괄 한병철 교수의 <타자의 추방>을 읽었다. 저자는 현재 베를린 예술대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피로사회>, <투명사회> 등 저서가 독일에서 커다란 사회적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옮긴이의 후기에 따르면 '같은 것의 감옥으로부터의 구원은 타자로부터 온다는 것이 저자.. 독서일기(인문) 2017.03.11
인생이란 무엇인가를 다시 읽고 1. 톨스토이 톨스토이가 쓴 <인생이란 무엇인가>를 다시 읽었다. 8년만이다.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매일 좋은 글을 읽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매일 주제가 다르고, 자신의 단상에서 시작해 다른 출처의 인용문을 붙이고 자신의 생각으로 마무리하는 형식을 주로 취했다. 톨스토.. 독서일기(인문) 2016.11.13
사회정의론을 다시 읽고 1. 존 롤즈 존 롤즈가 쓴 <사회정의론>을 다시 읽었다. 17년만이다. 저자는 미국에서 태어나 하버드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그는 1958년 <공정으로서의 정의>라는 논문을 발표한 이후 <분배적 정의>, <시민불복종>, <정의감> 등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1971년 이.. 독서일기(인문) 2016.09.18
행복론 인간론 1. 개괄 알랭의 에세이 <행복론> <인간론>을 읽었다. 저자는 1868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1951년 사망하였다. 그는 사상가 철학가로서 새로운 철학의 세계를 거절하였으나 플라톤, 헤겔, 루소, 몽테뉴에서는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의 저서는 '잘 판단 하는 것은 잘 행위하는 것이다'라.. 독서일기(인문) 2016.06.26
생각의 힘을 읽고 1. 개괄 존 판던이 쓴 <옥스브리지 생각의 힘>을 읽었다. 저자는 케임브리지대학교 출신으로 철학, 과학, 역사 등 다양한 분야의 경계를 넘나들며 책 100여 권을 낸 작가다. 이 책은 옥스퍼드대학교와 케임브리지대학교의 입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면접질문에서 나온 문제를 던지고 작.. 독서일기(인문) 2015.11.20
법과 권리를 읽고 1. 개괄 로널드 드워킨이 쓴 <법과 권리>를 읽었다. 저자는 뉴욕대학교에서 법철학을 가르친다. 이 책은 1977년 처음 발간되었는데, 원제는 Taking Rights Seriously다. 서두에 번역자인 염수균 교수가 드워킨의 법철학을 소개하고 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법관의 판결의 근거는 언제나 .. 독서일기(인문) 2015.09.13
문명, 그 길을 묻다를 읽고 1. 개괄 안희경이 쓴 <문명, 그 길을 묻다>를 읽었다. 저자는 재미 저널리스트다. 저자는 이 시대 석학 11명들과 만나 나눈 이야기를 경향신문에 연재하였고, 이를 출간하게 되었다. 저자가 만난 석학들은 재레드 다이아몬드, 제레미 리프킨, 노암 촘스키, 장 지글러, 지그문트 바우만, .. 독서일기(인문) 2015.09.04
혐오와 수치심을 읽고 1. 개괄 마사 너스바움이 쓴 <혐오와 수치심>을 읽었다. 저자는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지식인으로서 미국 시카고대학교 로스쿨과 철학과의 법학 윤리학 석좌교수다. 이 책은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 감정과 법 (2) 혐오와 우리의 동물적 육체, (3)혐오와 법, (4) 얼굴에 새기기: 수치.. 독서일기(인문) 2015.06.07
심리정치를 읽고 1. 개괄 한병철의 <심리정치>를 읽었다. 저자는 베를린 예술대학교 교수로 재직중이다. 이 책은 <피로사회><투명사회>에 이은 독일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책으로서 신자유주의의 통치술을 다룬다. 억압 대신 친절로, 금지 대신 유혹으로 개인들을 조종하는 신자유주의적 심리.. 독서일기(인문) 2015.03.22
소설가의 일을 읽고 1. 개괄 김연수의 <소설가의 일>을 읽었다. 저자는 소설가이고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를 쓴 바 있다. 이 책은 소설가란 무엇인가? 저자는 어떻게 하여 소설가가 되었는가? 소설을 어떻게 쓸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하여 저자의 생각을 담고 있다. 2.. 독서일기(인문) 2014.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