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에게 세상을 묻다를 읽고 1. 개괄 G. 버나드 쇼 <쇼에게 세상을 묻다>를 읽었다. 저자는 아일랜드 태생 극작가이자 사상가로서 노벨 문학상, 오스카 상을 모두 수상한 유일한 사람이라고 한다. 그는 버트랜드 러셀 등과 함께 온건한 사회주의자들의 모임인 페이비언협회에서 활동하였다. 페이비언협회는 영국 .. 독서일기(정치사회) 2013.01.15
진짜 같은 가짜 가짜 같은 진짜를 읽고 1. 개괄 신옥진의 <진짜 같은 가짜 가짜 같은 진짜>를 읽었다. 선물받은 책이다. 저자는 1975년 이래 지금까지 부산공간화랑을 경영하고 있는 화상으로서 부산시립미술관에 400여 점의 미술품을 기증하였는데, 기증한 미술품 중에는 이중섭, 박수근, 김환기, 도상봉의 작품을 비롯한 일.. 독서일기(기타) 2013.01.14
왜 가난한 사람들은 부자들을 위해 투표하는가를 읽고 1. 개괄 토마스 프랭크 <왜 가난한 사람들은 부자들을 위해 투표하는가>를 읽었다. 저자는 역사학 박사이자 잡지와 신문에 기고하는 언론인이다. 이 책은 미국 캔자스주를 비롯하여 낙후된 지역이 자신의 이익과 상관없는 부자들의 정당 공화당을 지지하는 이유를 분석한 책이다. 2004.. 독서일기(정치사회) 2013.01.09
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오는가를 읽고 1. 개괄 스티븐 존슨 <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디서 오는가>를 읽었다. 저자는 과학저술작가다. 이 책은 700년 역사에서 찾은 7가지 혁신 키워드란 부제를 달고 있다. 7가지 키워드란 인접가능성, 유동적 네트워크, 느린 예감, 뜻밖의 발견, 실수, 굴절적응, 플랫폼이다. 이 책에 담긴 격언.. 독서일기(경제경영) 2013.01.06
나는 세계로 출근한다를 읽고 1. 개괄 박은영 <나는 세계로 출근한다>를 읽었다. 선물받은 책이다. 저자는 서울지방법원 판사를 역임하였고, 뉴욕대 로스쿨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런던국제중재법원 평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국제문제 전문 변호사 이른바 국제변호사다. 이 책은 중재인, 국제문제 전문 변호.. 독서일기(정치사회) 2013.01.04
마담 보바리를 읽고 1. 개괄 귀스타브 플로베르 <마담 보바리>를 읽었다. 저자는 1856년 이 책을 완성했고 작품의 몇몇 대목이 선정적이고 음란하다는 이유로 기소당했으나 무죄판결을 받았다. 작가는 "형식이 결여되어 있으면 생각도 없는 법이다. 형식과 내용 중 하나를 탐구한다는 것은 곧 다른 하나를 .. 독서일기(추천) 2012.12.31
사람은 무엇으로 성장하는가를 읽고 1. 개괄 존 맥스웰의 <사람은 무엇으로 성장하는가>를 읽었다. 저자는 신학을 전공한 리더십 전문가다. 이 책은 의도성의 법칙을 비롯하여 15개의 법칙을 소개하고 있다. 2. 발췌 사람은 자신의 관점과 일치하지 않는 행동을 할 수 없다. 자신을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은 긍정적인 일을 .. 독서일기(성찰) 2012.12.26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1. 개괄 대런 애쓰모글루, 제임스 A.로빈슨의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를 읽었다. 전자는 MIT 경제학과 교수이고, 후자는 하버드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다. 이 책의 요지는 모두를 끌어안는 포용적인 정치 경제 제도가 발전과 번영을 불러오고 지배계층만을 위한 수탈적이고 착취적인 제.. 독서일기(정치사회) 2012.12.23
키케로의 의무론을 읽고 1. 개괄 키케로의 의무론을 읽었다. 공직을 빼앗긴 로마의 키케로가 아테네에 유학 가 있던 아들에게 보낸 편지를 모은 것으로서 로마인들의 실천적 윤리 규범을 다루었다. 제1권 도덕적 선에 대하여, 제2권 유익함에 대하여, 제3권 도덕적 선과 유익함의 상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 독서일기(추천) 2012.12.19
종의 기원을 읽고 1. 개괄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을 읽었다. 정식 명칭은 <자연 선택에 의한 종의 기원에 관하여>다. 1859년 처음 출간되었고 당시 종교계의 심한 공격을 받았다. 2. 발췌 어느 종이건 생존해 나갈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많은 개체가 탄생하며, 따라서 빈번하게 생존 경쟁이 일어나므.. 독서일기(추천) 2012.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