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을 영원히 감옥에 가두어 둘 수는 없습니다를 읽고 1. 개괄 고 조영래 변호사가 남긴 글 모음 <진실을 영원히 감옥에 가두어 둘 수는 없습니다>를 정리해본다. 조영래 변호사는 1965년 3월 서울대 법대 입학하고 1971년 사법시험에 합격했으나 사법연수원 재학중 서울대생 내란음모 사건으로 1년 6월 징역형을 선고받고 1973년 4월 만기출소.. 독서일기(인물) 2013.12.29
소용돌이의 한국정치를 읽고 1. 개괄 그레고리 헨더슨이 쓴 <소용돌이의 한국정치>를 읽었다. 서형작가가 추천한 책이다. 그레고리 헨더슨은 1948년 7월 주한 미국대사관에 처음 부임하여 1950년까지 문정관으로, 1958년부터 1963년까지 정치 담당 자문을 거쳤고, 1964년에서 1966년까지 하버드 대학 국제문제연구소 연.. 독서일기(정치사회) 2013.12.28
나 자신과의 대화를 읽고 1. 개괄 넬슨 만델라 <나 자신과의 대화>를 읽었다. 저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국민당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저항하는 운동을 하였고, 그 때문에 27년 넘게 감옥에 갇혀 있었으며, 1990년 출소하였고, 1993년에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으며, 1994년 민주적으로 선출된 첫 대통령으.. 독서일기(인물) 2013.12.27
한 여름 밤의 꿈을 읽고 1. 개괄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쓴 희곡 <한 여름 밤의 꿈>을 읽었다. 1595~1596년 경 쓰여진 것으로 추측된다. 이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와 그것을 중심으로 한 작품의 통일성을 찾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원래 라이샌더와 드미트리우스는 동시에 허미아를 사.. 독서일기(희곡) 2013.12.18
굿 컴퍼니를 읽고 1. 개괄 로리 바시, 에드 프라운헤임, 딘 맥무러, 래리 코스텔로가 쓴 <굿 컴퍼니>를 읽었다. 로리 바시는 인적자본 분석 컨설팅 기업 CEO이자 경제학자다. 이 책의 요지는 착한 회사가 좋은 회사이며, 착한 회사가 세상을 바꾼다는 것이다. 좋은 고용주, 착한 판매자, 선량한 집사라는 .. 독서일기(경제경영) 2013.12.16
이방인을 읽고 1. 개괄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을 다시 읽었다. 저자는 알제리에서 태어났고, 1957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였다. 그는 <반항적 인간>에서 '나는 마르크스에게서 자유를 배우지 않았다. 사실을 말하자면 나는 가난 속에서 자유를 배웠다"고 한 바 있다. 카뮈가 1940년 <이방인>을 .. 독서일기(소설) 2013.12.13
피그말리온을 읽고 1. 개괄 버나드 쇼의 희곡 <피그말리온>을 읽었다. 저자는 1925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였고 1938년도 아카데미상 최우수각본상을 수상하였다. <만인의 정치진상>이라는 논문을 통해 교육을 강조하면서 군사력을 거부하고 점증적인 개혁, 의회의 개혁을 요구하는 페이비언의 이론을.. 독서일기(희곡) 2013.12.12
체호프 희곡전집1을 읽고 1. 개괄 <체호프 희곡전집 1>을 읽었다. 안똔 빠블로비치 체호프는 20세기 드라마와 연극을 선도한 러시아의 극작가다. 그는 인간의 평범한 일상에 관심을 기울이고 거기서 인간 존재의 답을 구하려고 했던 최초의 작가 중의 한 명이다. 그는 평범한 주인공들을 무대에 등장시켜 일상.. 독서일기(희곡) 2013.12.08
폭풍의 언덕을 읽고 1. 개괄 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을 읽었다. 1847년 출판된 그녀의 유일한 소설이었지만 당시에는 호평을 받지 못하였고, 그녀는 이듬해 30살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영국 요크셔의 황지에 사는 두 집안의 3대에 걸친 내력이 히스클리프라는 악마적 정열을 가진 인물을 중심으로 .. 독서일기(소설) 2013.12.02
소명으로서의 정치를 읽고 1. 개괄 막스 베버의 <소명으로서의 정치>를 읽었다. 최장집 교수가 해설을 하고, 박상훈 박사가 번역하였다. <소명으로서의 정치>는 막스베버가 1917~1919년에 행한 강연 가운데 하나다. 막스베버는 현대 사회학을 창시하였고, 역사학 법학 경제학 정치학을 포함하는 사회과학 전반.. 독서일기(정치사회) 2013.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