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과 법 정의의 다툼을 읽고 1. 개괄 켄들 코피의 <여론과 법, 정의의 다툼>을 읽었다. 저자는 미국의 연방검사를 지냈고 현재는 변호사이며 2000년도 대통령 선거 소송에 관여한 바 있다. 이 책은 저자가 관여한 사건을 비롯하여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사건에서 법률의 법정과 여론의 법정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였.. 독서일기(정치사회) 2013.08.07
답성호원을 읽고 1. 개괄 율곡 이이 선생이 쓴 <답성호원>을 읽었다. 임헌규 교수가 번역한 책이다. 이 책은 이이 선생이 성혼 선생의 '人心과 道心'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서간문을 담고 있으며 끝에 '율곡의 철학적 서신, 답성호원'이라는 역자의 해제가 붙어 있다. 율곡의 생애 중 19세에 금강산에 들.. 독서일기(인문) 2013.07.30
정조와 홍대용, 생각을 겨루다를 읽고 1. 개괄 김도환의 <정조와 홍대용, 생각을 겨루다>를 읽었다. 저자는 홍대용 사상의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서울대 규장각 선임연구원을 거쳤다. 이 책은 홍대용이 쓴 계방일기를 번역하고 독자들이 읽기 쉽도록 사료적 근거와 주를 달아 설명한 책이다. 계방일기는 홍대용이 계.. 독서일기(인물) 2013.07.28
글자로만 생각하는 사람 이미지로 창조하는 사람을 읽고 1. 개괄 토머스 웨스트가 쓴 <글자로만 생각하는 사람 이미지로 창조하는 사람>을 읽었다. 저자는 미국 댈러스대학교 교수다. 이 책은 창조력에서 시각적 사고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특히 사업에서 큰 성공을 거둔 사람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흔하게 보이는 .. 독서일기(심리) 2013.07.22
당신으로 충분하다를 읽고 1. 개괄 정혜신의 <당신으로 충분하다>를 읽었다. 저자는 정신과 의사로서 노동자와 국가폭력 피해자들이 마음의 고통을 치유하는 과정을 함께 한 적이 있다. 이 책은 출판사에서 모집하고 심리검사를 시행하여 선정한 4명의 사람들과 함께 6회에 걸쳐 집단상담을 한 기록이다. 2. 발.. 독서일기(심리) 2013.07.16
공무원생활을 시작할 때 유의할 점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여 임용을 기다리고 있는 후배가 공무원 생활을 할 때 유의할 점이 뭐냐고 질문하였다. 몇 가지를 정리하여 다음과 같이 들려주었다. 많은 것을 이야기하면 헷갈릴 것 같아 몇 가지만 제시하였다. 1. 업무에 정통한 것이 최고의 친절이다. 공무원에게 친절은 덕목이.. 생활단상 2013.07.16
거대권력의 종말을 읽고 1. 개괄 니코 멜레 <거대권력의 종말>을 읽었다. 저자는 하버드 케네디스쿨 교수이고 중 고교를 한국에서 다닌 바 있다. 이 책은 거대 언론, 거대 정당, 거대 엔터테인먼트, 거대 정부, 거대 군사력, 거대 지성, 거대 기업이 무너진 시대에 이웃과 지역 커뮤니티를 되살리는 기회로 삼아.. 독서일기(정치사회) 2013.07.10
관찰의 힘을 읽고 1. 개괄 얀 칩체이스 사이먼 슈타인하트가 쓴 <관찰의 힘>을 읽었다. 얀 칩체이스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살고 그룹 비즈니스 분야에서 가장 창조적인 100인 중의 하나로 선정되었다. 사이먼 슈타인하트는 디지털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 JESS3 편집부 크레이티브 부 디렉터이다. 이 .. 독서일기(경제경영) 2013.07.07
이상문학상 작품집을 읽고 1. 2013 이상문학상 2013 이상문학상 작품집을 읽었다. 대상을 차지한 작가 김애란의 <침묵의 미래>를 비롯하여 대상후보에 오른 8편의 소설, 작가 김애란에 관한 작가론과 작품론이 실려 있다. 김애란의 소설은 모두 말하는 사람 혹은 이야기꾼의 탄생과 성장의 이야기, 그리고 그 말 속.. 독서일기(소설) 2013.07.05
어떻게 사랑할 것인가를 읽고 1. 개괄 고 장영희 교수의 <어떻게 사랑할 것인가>를 읽었다. 그녀는 서강대학교 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09년 사망하였다. 이 책은 장영희 교수가 생전에 젊은이들에게 들려준 강의 강연 모읍집이다. 2. 발췌 책 읽는 습관을 기르는 것은 인생의 모든 불행으로부터 스스로를 지.. 독서일기(성찰) 2013.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