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일상, 법정에 서다를 읽고 1. 개괄 한국고문서학회가 지은 <조선의 일상, 법정에 서다>를 읽었다. 한국고문서학회는 고문서의 체계적인 연구와 수집 보전을 위해 1991년 4월에 창립되었다. 이 책은 고문서를 중심으로 실록, 일기, 문집 등 관련 자료를 섭렵하여 조선시대 소송사례를 발굴하고, 경제생활, 신분사.. 독서일기(정치사회) 2014.05.01
처음 만나는 민주주의의 역사를 읽고 1. 개괄 로저 오스본의 <처음 만나는 민주주의 역사>를 읽었다. 저자는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지질학을 전공하였고, 1992년 전업작가가 되었다. 이 책은 아테네의 민주주의에서 최근 중국의 민주주의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대륙을 넘나들며 민주주의의 역사를 살피고 있다. 수많은 .. 독서일기(정치사회) 2014.04.27
마음에 박힌 못 하나를 읽고 1. 개괄 곽금주의 <마음에 박힌 못 하나>를 읽었다. 저자는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다. 이 책은 18개의 콤플렉스 관한 이야기다. 콤플렉스 이름에 얽힌 신화나 문학을 소개하고, 콤플렉스 증상을 설명한 다음 콤플렉스를 극복하는 방법울 제시한다. 에필로그에 이렇게 적고 있다. "아.. 독서일기(심리) 2014.04.22
에티카를 읽었으나 1. 스피노자 스피노자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유대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정통적 교리와 성서 해석에서 벗어나 전통과 권위에 대항했다. 유대교는 그를 파문시켰다. 그는 렌즈 깎는 일로 생계를 유지하면서 몇몇 학생들에게 개인적으로 철학을 가르쳤다. <에티카>는 스피노자.. 독서일기(인문) 2014.04.16
투명사회를 읽고 1. 개괄 현병철의 <투명사회>를 읽었다. 저자는 베를린 예술대학 교수로 재직중인데 <피로사회>란 책으로 독일에서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이 책은 투명사회가 신뢰사회가 아니라, 만인이 만인을 감시하는 새로운 통제사회라고 경고한다. 저자는 20세기 후반부터 사회 전체를 .. 독서일기(인문) 2014.04.11
이임사 저는 어제 형사판결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한다고 하였더니 방청객 몇 명이 울었습니다. 제가 하는 일이 남을 울리는 일이었구나 새삼 깨달았습니다. 이번 인사로 그 자리를 떠나게 되어 홀가분합니다. 저는 1992년부터 지금까지 22년간 지역법관으로 근무했습니다. 지역.. 생활단상 2014.04.11
위대한 유산을 읽고 1. 개괄 찰스 디킨스가 쓴 <위대한 유산>을 읽었다. 저자는 19세기 영국을 대표하느 소설가로서 아버지가 빚으로 채무자 감옥에 수감되자 수개월 혼자 구두약 공장에 나가 일한 적이 있고, 웰링턴 하우스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런던의 한 법률사무소에 취직한 적도 있다. 찰스 디킨스는.. 독서일기(추천) 2014.04.06
대통령의 글쓰기 1. 개괄 강원국이 쓴 "대통령의 글쓰기"를 읽었다. 저자는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연설비서관실 행정관, 비서관으로 근무하였다.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에게 배우는 사람들을 움직이는 글쓰기 비법이라는 부제가 달려 있다. 연설문 쓰기 방법을 주제로 하면서 국민의 정부, 참.. 독서일기(인문) 2014.03.29
햄릿을 읽고 1. 개괄 셰익스피어가 쓴 <햄릿>을 읽었다. 1601년 작품이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클로디어스는 형인 햄릿 왕을 죽이고 왕위를 차지한 다음 형수인 거트루드와 결혼한다. 햄릿 왕자는 아버지의 유령을 만나 삼촌이 아버지를 독살하였다는 사실을 알고 미친 척 한다. 햄릿이 소개하는.. 독서일기(희곡) 2014.03.26
인문학 명강을 읽고 1. 개괄 김상근 교수 외 10인이 지은 <인문학 명강> 서양고전 편을 읽었다. 저자들은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가 2013년 상반기 '서양고전, 인간을 말하다'를 주제로 연 인문학 공개강연에서 강연했던 교수, 연구자들인데, 이를 단행본으로 만들었다. 니체, 베토벤, 플라톤, 카프카, 호.. 독서일기(인문) 2014.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