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자본을 다시 읽고 1. 개괄 KBS '사회적 자본'제작팀이 쓴 사회적 자본을 다시 읽었다. 사회적 자본이란 물질자본, 인적 자본 외에 사람들이 협력해 같이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능력이다. 사회적 자본의 요소로 신뢰, 협력, 열린 소통등을 들 수 있다. 많은 실험결과가 소개되어 있다. 2. 발췌 한국.. 독서일기(정치사회) 2018.04.16
다운사이징 데모크라시를 다시 읽고 1. 개괄 매튜 A. 크렌슨과 벤저민 긴스버그가 쓴 '다운사이징 데모크라시'를 다시 읽었다. 이 책은 미국의 정치가 대중민주주의에서 개인민주주의로 변화되었다고 본다. 정당과 정치엘리트가 대중을 동원하던 시대에서 더 이상 대중을 동원하지 않고 다수가 되는 시대로 변화되었.. 독서일기(정치사회) 2018.04.15
권력의 조건을 다시 읽고 1. 개괄 도리스 컨스 굿윈이 쓴 권력의 조건'을 다시 읽었다. 이 책은 연방 하원의원 생활을 딱 한 번 했을 뿐인 무명 변호사 링컨이 명성 높던 세 명의 라이벌을 제치고 대통령이 되고 남북전쟁을 치르고 재선에 성공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노예제 폐지를 목표로 삼았지만 연방.. 독서일기(정치사회) 2018.04.08
최후의 권력, 연방대법원을 다시 읽고 1. 개괄 존 폴 스티븐슨 전 미국 연방대법관이 쓰고 김영민 교수가 번역한 '최후의 권력, 연방대법원'을 다시 읽었다. 저자는 연방대법관을 35년 6개월 재직하였고 한마디로 유명하지는 않아도 훌륭한 판사였다고 한다. 퇴임 후 회고록 쓰는 것이 전통이라고 한다. 연방대법원사를 .. 독서일기(정치사회) 2018.03.28
열린사회와 그 적들 1을 다시 읽고 1. 개괄 칼 포퍼가 쓴 '열린사회와 그 적들 1'을 다시 읽었다. 7년 전에 1편을 읽었으니 2편을 읽어야 하지만 1편이 제대로 이해가 되지 않아 다시 읽었다. 그가 말하는 열린사회란 전체주의에 대립되는 개인주의의 사회이며, 사회 전체의 급진적인 개혁보다는 점진적이고 부분적인 .. 독서일기(정치사회) 2018.03.20
위험사회를 다시 읽고 1. 개괄 울리히 벡이 쓴 '위험사회'를 다시 읽었다. 저자는 뮌헨대학, 뮌스터대학 교수를 지냈고 1986년에 이 책을 처음 출간하였다. 이 책의 요지는 사회가 실제로 진화하려면 근대화는 반드시 성찰적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성찰적 근대화를 강조한다. 고전적 산업사회에서는 부 생.. 독서일기(정치사회) 2018.02.14
말이 칼이 될 때를 읽고 1. 개괄 홍성수 교수가 쓴 '말이 칼이 될 때'를 읽었다. 저자는 런던정경대에서 국가인권기구에 대한 법사회학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숙명여대 법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혐오표현이란 소수자에 대한 편견 또는 차별을 확산시키거나 조장하는 행위 또는 어떤 개인, 집.. 독서일기(정치사회) 2018.01.13
가인 김병로를 읽고 1. 개괄 한인섭 교수가 쓴 '가인 김병로'를 읽었다. 저자는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중이고 '인권변론의 한 시대' 등을 쓴 바 있다. 이 책은 김병로 선생의 출생부터 사망까지를 다루고, 항일변호사, 미군정기 사법부장, 대법원장, 법전편찬위원장, 반민특위 재판부장, 헌.. 독서일기(정치사회) 2018.01.03
세상은 바꿀 수 있습니다를 읽고 1. 개괄 이용마 기자가 쓴 '세상은 바꿀 수 있습니다'를 읽었다. 저자는 서울대 정치학과를 다녔고, 1996년 mbc 기자로 입사하여 2012년 공정방송을 위한 파업을 이끌다가 해고 되었다. 이 책은 저자가 복막암으로 투병생활을 하면서 나이 어린 아이들이 염려되어 살아온 인생을 토대.. 독서일기(정치사회) 2017.12.03
뉴스는 어떻게 조작되는가를 읽고 1. 개괄 최경영 기자가 쓴 '뉴스는 어떻게 조작되는가'를 읽었다. 저자는 kbs 기자로 일했고 미국탐사보도협회 객원연구원을 지냈고 2013년 7월부터 뉴스타파 기자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9시의 거짓말'이 있다. 이 책은 6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제목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한.. 독서일기(정치사회) 2017.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