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사회를 읽고 1. 개괄 카롤린 엠케가 지은 <혐오사회>를 읽었다. 저자는 독일의 저널리스트, 작가다. 박권일은 추천사에서 '우리가 다르기 때문에 불평등하게 대우받는 것이 아니다. 불평등하게 대우받았기 때문에 다르게 된 것이다'라고 말한다. 이 책은 혐오와 증오에 어떻게 맞설 것인가.. 독서일기(정치사회) 2017.08.07
대법원 이의 있습니다를 읽고 1. 개괄 권석천 기자가 쓴 <대법원, 이의 있습니다>를 읽었다. 저자는 중앙일보 법조팀장 사회부장을 거쳤다. 이 책은 이용훈 코트와 독수리5형제 대법관들이 재판을 통한 개혁에 도전한 일을 다루고 있다. 2. 발췌 그 누구도 정의를 독점할 수 없다. 법원이 판결한 이상 그 결론.. 독서일기(정치사회) 2017.08.05
고독한 군중을 읽고 1. 개괄 데이비드 리스먼이 지은 <고독한 군중>을 읽었다. 저자는 1909년 미국에서 태어나 2002년 사망하였다. 이 책은 현대 미국인의 성격과 미국의 사회의식을 밝히려 하고 있다. 저자는 인류의 역사적 사회성격을 세 가지로 분류한다. (1) 전통지향형 : 그 방향의 기준이 전통을 따라는.. 독서일기(정치사회) 2017.05.27
권력이란 무엇인가를 읽고 1. 개괄 한병철 교수의 <권력이란 무엇인가>를 읽었다. 저자는 서문에서 '긍정적 형태로서의 권력은 형성하고 산출해내며 질서를 부여한다. 권력은 폭력과는 반대로 생산적이다. 권력은 혼란이 생겨나는 것을 막는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권력은 근본적으로 독백적이다. 그리고 바로.. 독서일기(정치사회) 2017.03.19
지연된 정의를 읽고 1. 개괄 박상규, 박준영이 쓴 <지연된 정의>를 읽었다.박상규는 전 <오마이뉴스> 기자고, 박준영은 변호사다. 이 책은 삼례 나라슈퍼 3인조 강도치사 사건, 익산 약촌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 완도 무기수 김신혜 사건의 재심을 청구한 변호인으로서 겪었던 이야기를 담고 있다. .. 독서일기(정치사회) 2017.01.12
대통령의 말하기 1. 개괄 윤태영의 <대통령의 말하기>를 읽었다. 저자는 참여정부 대변인, 연설기획비서관, 제1부속실장을 지냈다. 이 책은 대통령 노무현, 나아가 정치인 노무현의 말하기 원칙과 노하우를 소개한다. 평소 말하는 방법에 관심이 많은지라 골랐다. 2. 발췌 말하기의 기본은 역시 .. 독서일기(정치사회) 2016.10.16
통치론을 다시 읽고 1. 존 로크 존 로크가 쓴 <통치론>을 다시 읽었다. 3년만이다. 존 로크는 1632년 영국에서 태어나 1704년 사망하였다. 명예혁명 이후인 1689년 이 책이 출간되었다. 제1장 서론에서 제19장 정부의 해체에 관하여까지로 구성되어 있다. 역자해제에 따르면 로크의 사회계약론은 네 개의 특징.. 독서일기(정치사회) 2016.09.27
자유론을 다시 읽고 1. 존 스튜어트 밀 존 스튜어트 밀이 쓴 <자유론>을 다시 읽었다. 5년만이다. 저자는 1806년 영국 런던 부근에서 태어나 1859년 <자유론>을 출간하였고 1873년 아비뇽에서 죽었다. 1830년 유부녀 헤리엇 테일러를 만나 사랑에 빠지게 되고 18년 후 그녀의 남편이 죽자 그녀와 결혼하였으.. 독서일기(정치사회) 2016.09.07
미디어의 이해를 다시 읽고 1. 마셜 맥루언 마셜 맥루언이 쓴 <미디어의 이해>를 읽었다. 저자는 1911년 캐나다에서 태어나 1964년 이 책을 처음 출간하였으며1980년 사망하였다. 토론토 대학교 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할 때 대중 문화를 강의하면서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발전시켰다. <우리는 보는 대로 된다> <.. 독서일기(정치사회) 2016.09.03
사회계약론 1. 루소 장 자크 루소가 쓴 <사회계약론>을 다시 읽었다. 2000. 6. 6. 처음 읽었다. 루소는 1712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태어났고 1728년 바랑 부인을 처음 만났으며, 1760년 <사회계약론>을 집필하였고, 1778년 프랑스 파리에서 사망하였다. <에밀>을 읽을 때도 느꼈지만, 루소는 글을 쉽.. 독서일기(정치사회) 2016.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