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괄
김인회 교수가 쓴 '윤리의 미래 좋은 삶'을 읽었다. 그는 사법시험에 합격하였고 현재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형사법과 법조윤리를 가르치고 있다.
이 책은 정의의 동반자로서 윤리를, 윤리가 과연 무엇인지를, 윤리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미래사회 윤리의 모습을, 윤리를 확보하고 발전시킬 방법을 살핀다.
2. 발췌
윤리는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요소입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요소에 영향을 미칩니다. 개인의 행복과 제도의 운용, 기업과 정부 운영의 바탕이 됩니다. 좋은 삶으로서 윤리는 착하고 친절하고 마음 약한 사람들이 세상을 살아가는 기본자세입니다.
갈등이 심해지면 문제를 문제로 보지 않고 문제의 배후에 있는 사람을 문제와 동일시합니다. 문제가 자신에게 고통을 주면 줄수록 문제의 배후에 있는 사람들을 악마화합니다. 문제와 사람을 구분해야 문제는 해결하고 사람에게 존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약자는 상황이 악화되면 가장 먼저 인권의 침해를 받습니다. 인권을 생각하고 인권정책을 수립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원칙은 누구나 사회적 약자가 될 수 있다라는 점입니다.
3. 소감
윤리를 5단계로 구분한 것이 인상적이었다. (1) 법률준수, 범죄행위 금지 (2) 예의 공손 품위 (3) 존중 공감 신뢰 (4) 정체성 (5) 자비와 사랑
2020. 11. 7. 부산에서 자작나무
김인회 교수가 쓴 '윤리의 미래 좋은 삶'을 읽었다. 그는 사법시험에 합격하였고 현재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형사법과 법조윤리를 가르치고 있다.
이 책은 정의의 동반자로서 윤리를, 윤리가 과연 무엇인지를, 윤리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미래사회 윤리의 모습을, 윤리를 확보하고 발전시킬 방법을 살핀다.
2. 발췌
윤리는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요소입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요소에 영향을 미칩니다. 개인의 행복과 제도의 운용, 기업과 정부 운영의 바탕이 됩니다. 좋은 삶으로서 윤리는 착하고 친절하고 마음 약한 사람들이 세상을 살아가는 기본자세입니다.
갈등이 심해지면 문제를 문제로 보지 않고 문제의 배후에 있는 사람을 문제와 동일시합니다. 문제가 자신에게 고통을 주면 줄수록 문제의 배후에 있는 사람들을 악마화합니다. 문제와 사람을 구분해야 문제는 해결하고 사람에게 존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약자는 상황이 악화되면 가장 먼저 인권의 침해를 받습니다. 인권을 생각하고 인권정책을 수립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원칙은 누구나 사회적 약자가 될 수 있다라는 점입니다.
3. 소감
윤리를 5단계로 구분한 것이 인상적이었다. (1) 법률준수, 범죄행위 금지 (2) 예의 공손 품위 (3) 존중 공감 신뢰 (4) 정체성 (5) 자비와 사랑
2020. 11. 7. 부산에서 자작나무
'독서일기(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에게는 참지 않을 권리가 있다를 읽고 (0) | 2020.11.26 |
---|---|
오리지널스를 읽고 (0) | 2020.11.12 |
포스트트루스를 읽고 (0) | 2020.10.13 |
당신이 진짜로 믿었던 가짜뉴스를 읽고 (0) | 2020.08.27 |
이 시대의 사법을 고민하다를 읽고 (0) | 2020.08.23 |